2025년 최저시급 얼마인지 정확히 알려드려요 (월급 실수령액 표 포함)
안녕하세요! 2025년이 되면서 알바생, 직장인, 사장님 모두가 가장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가 바로 “2025 최저시급”인데요. 올해는 드디어 시급 1만 원 시대가 열렸습니다! 고용노동부 공식 발표를 기준으로 정확한 금액부터 주휴수당 포함 월급,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 바로 스크랩해서 써도 될 만큼 자세히 준비했습니다.

2025년 최저임금 기본 정보 (고용노동부 공식 고시)
- 적용 기간: 2025년 1월 1일 ~ 2025년 12월 31일
- 시간급: 10,030원 (2024년 9,860원 → 170원 인상, 인상률 1.7%)
- 일급 (8시간 기준): 80,240원
- 월급 환산액 (주 40시간, 유급 주휴 포함): 2,096,270원
월급이 왜 209만 6,270원이냐면, 최저임금법에서 정한 ‘월 환산 기준시간 209시간’ 때문이에요.
(주 소정근로 40시간 + 유급 주휴 8시간) × 52주 ÷ 12개월 = 209시간
10,030원 × 209시간 = 정확히 2,096,270원입니다.
2025년 최저임금 풀타임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?
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돈이 궁금하시죠? 4대보험과 세금을 공제한 후 금액을 표로 정리했습니다.
(조건: 주 40시간 근무, 부양가족 1인, 월 식대 등 비과세 20만원 적용, 2025년 보험요율 기준)
| 항목 | 공제 금액(원) | 비고 |
|---|---|---|
| 총 급여액 | 2,096,270 | 주휴수당 포함 |
| 국민연금 (4.5%) | 약 94,300 | |
| 건강보험 (3.545%) | 약 74,300 |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|
| 고용보험 (0.9%) | 약 18,900 | |
| 소득세 + 지방소득세 | 약 5,000~10,000 | 연말정산 때 대부분 환급 |
| 비과세 (식대 등) | -200,000 | 월 20만원까지 공제 가능 |
| 실수령액 예상 | 1,903,000 ~ 1,913,000원 | 개인 상황에 따라 ±5만 원 차이 가능 |
실수령액 190만 원 중반대라는 뜻이에요!
비과세 식대를 20만 원 꽉 채워 받으면 191만 원 넘기는 경우도 많아요.
파트타임·알바생 실수령액 간단 계산법
- 주 30시간 근무 → 월급 약 1,570,000원대 / 실수령 약 148~152만 원
- 주 20시간 근무 → 월급 약 1,050,000원대 / 실수령 약 100~103만 원
- 주 15시간 근무 → 월급 약 790,000원대 / 실수령 약 76~78만 원 (주휴수당도 받음)
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주휴수당 팁
-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개근 → 무조건 유급 주휴일 발생
- 하루 8시간 기준 주휴수당 = 80,240원 (2025년 기준)
- 시급 계약이라도 주휴수당 안 주면 위법!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 100% 체불임금으로 받을 수 있어요.
수습 기간에도 100% 줘야 할까?
- 3개월 수습 시 최저임금 90% 가능 (9,027원)
- 단,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하고, 단순 노무직은 100% 지급해야 합니다.
사장님께 드리는 말씀
최저임금을 안 지키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2,000만 원 이하 벌금이에요.
정부에서 일자리 안정자금, 두루누리 지원금 등 지원사업 많으니 꼭 신청하세요!
결론
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, 풀타임 월급 총액 2,096,270원, 실수령액은 비과세 잘 챙기면 190만 원 중반대입니다.
알바 구할 때, 월급 협상할 때, 사업 시작할 때 이 글 저장해 두시면 평생 유용할 거예요!
참고 사이트
고용노동부 최저임금 페이지 → 고용노동부 사이트 방문하기
최저임금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→ 최저임금위원회 사이트 방문하기
사진 보정 어플 & 투턱 보정 어플 추천: 자연스러운 보정으로 완성하는 셀카 꿀팁 : 사진 보정 어플 TOP 5